부전-마산 복선전철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부전-마산 복선전철은 한국철도공사와 스마트레일이 운영하는 총 연장 50.2km의 복선 전철 노선이다. 2014년 6월 27일에 착공하여, KTX-이음과 ITX-마음이 운행하며, 부전역, 사상역 등 7개의 역이 있다. 사상역 서쪽 구간의 하저터널 붕괴 사고와 전동차 운행 여부 문제 등의 논란이 있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- 경원선
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,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,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. -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- 병점기지선
병점기지선은 경기도 화성시 병점역과 오산시 서동탄역을 잇는 2.2km의 한국철도공사 노선으로,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며, 향후 동탄인덕원선 및 수도권고속철도와의 연결이 추진 중이다. - 경전선 - 광주역
광주역은 1922년 개업하여 경전선과 호남선의 중요 정차역이었으나, KTX 운행이 광주송정역으로 이관된 후 현재는 일반 열차만 운행하며, 도시철도 연계 부족과 셔틀열차 폐지로 환승이 불편하다. - 경전선 - 진례역
진례역은 2010년에 개통하여 화물 및 여객 영업을 시작했으며, 경전선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. - 대한민국의 철도 - 경부선
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,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,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,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. - 대한민국의 철도 - 서울 지하철 6호선
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.4km의 지하철 노선으로,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,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.
부전-마산 복선전철 - [철도 노선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노선 정보 | |
노선명 | 부전-마산 복선전철 |
노선명2 | 부전-마산선 |
나라 | 대한민국 |
상태 | 공사 중 |
기점 | 부전역 (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) |
종점 | 마산역 (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) |
역수 | 7 |
개통일 | 2026년 |
소유자 | 국가철도공단 |
운영자 |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차량 운행 업무, 스마트레일역무 관리,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|
영업 거리 | 50.2km |
실제 거리 | 30.2km |
시설 연장 | 50.2km |
궤간 | 1,435mm(표준궤) |
선로 | 2 |
전철화 | 가공전차선, 강체가선(터널구간) 교류 25,000V 60Hz |
신호 | ATP |
영업 최고 속도 | 172km/h |
설계 최고 속도 | 0km/h |
2. 연혁
3. 노선 정보
4. 역 목록
거리
거리
부산 도시철도 2호선
부산-김해 경전철
부산 도시철도 5호선(예정)